전체메뉴

동향브리핑

건설동향브리핑 756호

출판일 2020-05-11

연구원 CERIK

인류의 자원 소비 증가로 막대한 양의 폐기・오염물질이 정화되지 못한 상태로 배출되면서 대기・수질・토양 오염이 심화되고 있고, 무분별한 자연 개발로 야생동물들의 서식처가 줄어들면서 지구 생태계가 크게 위협받고 있음. 특히 산업 발달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증가로 지구 온난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음. BBC 뉴스 코리아, “유엔 총회 : 지구 온도는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다”, 2019.9.23.

이러한 지구 환경 변화는 결과적으로 인류가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바이러스의 출현과 대규모 감염병 사태의 주기적인 발생으로 이어지고 있음. 한국기후환경네트워크, “지구온난화와 전염병의 상관관계”, 2020.2.6.
2003년의 사스, 2009년의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 2013년 조류 인플루엔자, 2015년의 메르스, 그리고 현재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코로나19 사태가 이의 대표적인 예임.

● 코로나19 사태를 통해 우리나라 방역・의료 시스템의 우수성 확인
작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출현한 코로나19는 약 5개월 만에 전 세계 181개국으로 전파되면서 4월 말 현재 총 311만명의 감염자와 22만 6,000명의 사망자를 내는 커다란 피해를 초래함. 특히 그동안 의료 선진국으로 평가되어 온 미국에서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확진・사망자가 발생함.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초기에 다수의 지역 감염 사례가 발생했으나, 최근 신규 확진자 수가 크게 감소하고 있으며, 사망률 역시 매우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음. 이는 다른 국가들이 코로나19 방역과 환자 치료에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과 크게 대비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