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동향브리핑 13호
출판일 2002-03-16
연구원 CERIK
향후 10년간 건설 투자는 실질 가격 기준으로 연평균 4.5% 증가하여 금액으로는 1995년 불변 가격 기준으로 2010년에는 107조 6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기간별로는 2001∼2005년까지는 연평균 5.0% 증가하고 2006∼2010년에는 연평균 3.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향후 10년간 건설 투자는 실질 가격 기준으로 연평균 4.5% 증가하여 금액으로는 1995년 불
변 가격 기준으로 2010년에는 107조 6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기간별로는 2001∼2005년까지는 연평균 5.0% 증가하고 2006∼2010년에는 연평균 3.9% 증가
할 것으로 전망됨.
■ 건설 투자 GDP 대비 비중 계속 하락
● 이는 향후 국내 경제가 10년간 연평균 5.0% 성장한다는 가정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 건설
투자의 GDP 대비 비중이 계속 하락함.
- 1990년 초반의 우리나라의 GNP 대비 건설 투자의 비중은 20%를 상회하여 1970년 중반의 선
진국(1990년대 초 우리나라 1인당 GDP와 비슷한 시기)의 14%에 비해 매우 높았음.
- 그러나 앞으로는 우리나라도 과거 40년간의 SOC 투자 확충과 주택 보급률의 상승, 인구 증
가율 하락, 도시화의 완료 등으로 인해 선진국과 같이 건설 투자의 비중이 점차 줄어들 것으
로 예상됨.
- 다만, 1997년 이후 우리나라의 건설 투자 비중이 급격히 낮아졌다는 점을 감안해 볼 때 2005
년까지는 현재와 비슷한 수준인 14.4%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나 이후에는 점차 낮아져 2010
년에는 13.7%로 현재보다 약 0.8% 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전망됨.
■ 건축 투자는 신도시 건설 등으로 연평균 5.9% 증가
● 건축 투자는 주거용, 비주거용 건설 투자의 증가에 힘입어 2010년까지 연평균 5.9% 증가하
여 2010년에는 1995년 불변 가격 기준으로 54조 8,7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 주택 공급 물량의 부족에 따른 전월세 가격의 상승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정부에서는 임대 주
택 건설 확대를 도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판교 신도시를 포함한 수도권 위성도시 건설이
가시화되고 있음.
- 이에 따라 2005년까지 중기적으로 주거용 건설 투자는 연평균 6.6%의 비교적 견실한 증가세
를 나타낼 것으로 보임.
- 다만, 2005년 이후에는 리모델링 수요의 증대, 실버 주택 등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주택 보급
률 100% 상회, 가구수 증가율 둔화 등으로 증가세가 4.2% 수준으로 크게 낮아질 전망임.
- 이와 함께 지난 몇 년간 부진하였던 비주거용 건설 투자도 향후 10년간은 6.5%의 높은 증가
세를 지속할 것으로 보임.
■ 토목 투자는 대형 공사의 완공 등으로 증가세 불투명
● 토목 투자는 최근 정부의 경기 부양책으로 여타 건설 부문에 비해 높은 증가세를 유지하여
왔으나, 향후에는 2005년까지 증가세가 3.4%로 둔화되고 이후에도 3%를 크게 상회하기 힘
들 것으로 예상됨.
- 정부 및 주요 정부투자기관의 중장기 투자 계획에 의하면, 2001∼2005년 사이 토목 건설 투자
는 실질 기준으로 연평균 6.0%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거 계획치와 실적치를 비교해 볼
때 실제 투자는 3.4% 수준이 될 것으로 예측됨.
- 2001∼2005년 사이 전체 토목 시장의 약 60%를 차지하는 교통 시설물의 투자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나타남.
- 신공항 2단계 공사 착수, 항만 시설 투자 대폭 확대, 국가기간교통망 계획에 따른 고속도로
건설, X자형 한반도 종단 고속철도망 건설, 간선 철도 확충 사업, 광역도시의 지하철 건설 확
충 등이 투자 증가의 주요 요인이 될 것임.
- 중앙 정부의 직접적인 SOC 투자보다는 민자 사업 방식의 투자가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됨.
- 또한, 지방자치제가 정착되어 감에 따라 지역 개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지방 재정에 의
한 투자 수요가 상대적으로 증가할 것임.
- 반면, 2006∼2010년 사이에는 증가세가 상대적으로 둔화되어 투자 증가율이 연평균 3.0% 수
준이 될 것으로 전망됨.
- 2005년 이후 항만 시설물 확충 투자 급감, 2008년 신공항 2단계 건설 완공, 고속도로 건설 투
자의 감소 등이 주요 요인이 될 것임.
최윤기(부연구위원·ykchoi@cerik.re)
-------------------------------------------------------------------------------------
■ 경제 : 3월 체감 건설 경기 전망 매우 맑음
2002년 1월 건설 수주 급증세 지속
■ 정책 : 향후 10년간 건설 투자, 연평균 4.5% 증가 전망
■ 이슈 : 주택 가격 안정 대책, 건설 업계에 어떤 영향 미치나
CM 능력 평가 및 공시 제도 무엇이 문제인가
■ 논단 : 턴키
■ 향후 10년간 건설 투자는 실질 가격 기준으로 연평균 4.5% 증가하여 금액으로는 1995년 불
변 가격 기준으로 2010년에는 107조 6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기간별로는 2001∼2005년까지는 연평균 5.0% 증가하고 2006∼2010년에는 연평균 3.9% 증가
할 것으로 전망됨.
■ 건설 투자 GDP 대비 비중 계속 하락
● 이는 향후 국내 경제가 10년간 연평균 5.0% 성장한다는 가정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 건설
투자의 GDP 대비 비중이 계속 하락함.
- 1990년 초반의 우리나라의 GNP 대비 건설 투자의 비중은 20%를 상회하여 1970년 중반의 선
진국(1990년대 초 우리나라 1인당 GDP와 비슷한 시기)의 14%에 비해 매우 높았음.
- 그러나 앞으로는 우리나라도 과거 40년간의 SOC 투자 확충과 주택 보급률의 상승, 인구 증
가율 하락, 도시화의 완료 등으로 인해 선진국과 같이 건설 투자의 비중이 점차 줄어들 것으
로 예상됨.
- 다만, 1997년 이후 우리나라의 건설 투자 비중이 급격히 낮아졌다는 점을 감안해 볼 때 2005
년까지는 현재와 비슷한 수준인 14.4%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나 이후에는 점차 낮아져 2010
년에는 13.7%로 현재보다 약 0.8% 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전망됨.
■ 건축 투자는 신도시 건설 등으로 연평균 5.9% 증가
● 건축 투자는 주거용, 비주거용 건설 투자의 증가에 힘입어 2010년까지 연평균 5.9% 증가하
여 2010년에는 1995년 불변 가격 기준으로 54조 8,7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 주택 공급 물량의 부족에 따른 전월세 가격의 상승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정부에서는 임대 주
택 건설 확대를 도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판교 신도시를 포함한 수도권 위성도시 건설이
가시화되고 있음.
- 이에 따라 2005년까지 중기적으로 주거용 건설 투자는 연평균 6.6%의 비교적 견실한 증가세
를 나타낼 것으로 보임.
- 다만, 2005년 이후에는 리모델링 수요의 증대, 실버 주택 등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주택 보급
률 100% 상회, 가구수 증가율 둔화 등으로 증가세가 4.2% 수준으로 크게 낮아질 전망임.
- 이와 함께 지난 몇 년간 부진하였던 비주거용 건설 투자도 향후 10년간은 6.5%의 높은 증가
세를 지속할 것으로 보임.
■ 토목 투자는 대형 공사의 완공 등으로 증가세 불투명
● 토목 투자는 최근 정부의 경기 부양책으로 여타 건설 부문에 비해 높은 증가세를 유지하여
왔으나, 향후에는 2005년까지 증가세가 3.4%로 둔화되고 이후에도 3%를 크게 상회하기 힘
들 것으로 예상됨.
- 정부 및 주요 정부투자기관의 중장기 투자 계획에 의하면, 2001∼2005년 사이 토목 건설 투자
는 실질 기준으로 연평균 6.0%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거 계획치와 실적치를 비교해 볼
때 실제 투자는 3.4% 수준이 될 것으로 예측됨.
- 2001∼2005년 사이 전체 토목 시장의 약 60%를 차지하는 교통 시설물의 투자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나타남.
- 신공항 2단계 공사 착수, 항만 시설 투자 대폭 확대, 국가기간교통망 계획에 따른 고속도로
건설, X자형 한반도 종단 고속철도망 건설, 간선 철도 확충 사업, 광역도시의 지하철 건설 확
충 등이 투자 증가의 주요 요인이 될 것임.
- 중앙 정부의 직접적인 SOC 투자보다는 민자 사업 방식의 투자가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됨.
- 또한, 지방자치제가 정착되어 감에 따라 지역 개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지방 재정에 의
한 투자 수요가 상대적으로 증가할 것임.
- 반면, 2006∼2010년 사이에는 증가세가 상대적으로 둔화되어 투자 증가율이 연평균 3.0% 수
준이 될 것으로 전망됨.
- 2005년 이후 항만 시설물 확충 투자 급감, 2008년 신공항 2단계 건설 완공, 고속도로 건설 투
자의 감소 등이 주요 요인이 될 것임.
최윤기(부연구위원·ykchoi@cerik.re)
-------------------------------------------------------------------------------------
■ 경제 : 3월 체감 건설 경기 전망 매우 맑음
2002년 1월 건설 수주 급증세 지속
■ 정책 : 향후 10년간 건설 투자, 연평균 4.5% 증가 전망
■ 이슈 : 주택 가격 안정 대책, 건설 업계에 어떤 영향 미치나
CM 능력 평가 및 공시 제도 무엇이 문제인가
■ 논단 : 턴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