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동향브리핑

건설동향브리핑 103호

출판일 2005-12-16

연구원 CERIK

2006년의 건설경기 전망 자료 건산연 2005. 11. 2, 2006년 건설․경기전망 세미나 자료집.
에 의하면 2006년의 건설수주는 2005년에 비해 1.6%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건설투자도 2004년 이후의 저성장세(0.9%증가)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최저가낙찰제의 확대 시행, BTL 민간투자사업 확대, SOC 건설투자 감소 등의 여파로  수주여건 악화가 예상됨에 따라 건설업체의 2006년 경영 환경은 2005년과 같이 매우 어려움에 처할 것으로 예상됨.
이러한 경영 환경의 변화는 기업으로 하여금 전략의 수립과 실행을 강조하게 되며, 특히 환경 변화요인에 맞춘 적절한 전략적 행동을 요구함.
특히, 정부의 안정 투자기조와 맞물려 향후의 시장 확대 가능성 및 산업에 대한 투자 가능성이 희박하여 그에 걸맞는 전략수립이 요구됨.
또한 경쟁자에 대한 대응으로서의 ‘경쟁 전략’보다는 시장 및 가치 창출에 초점을 맞춘 전략적 접근이 요구됨.

■ 2006년 건설 경영 환경 변화 방향
• 건설업의 2006년 경영환경을 크게 정책․제도적 측면, 수요 및 공급 등 시장 구조적 측면, 경쟁적 측면으로 보고자 함.
• 정책․제도적 측면의 변화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음.
- 먼저 입․낙찰제도의 개선과 관련하여 최저가낙찰제의 300억까지의 확대가 이슈라고 볼 수 있는바, 현재 저가심의기준에 대한 개선 논의가 진행 중이나 실제로 저가 심의가 제대로 작동치 못할 경우, 건설업체의 저가 투찰은 지속될 수밖에 없음.
- 지속적인 부동산 안정정책의 추진과 관련, 8․31 부동산 종합대책의 후속 작업과 함께 분양원가 공개, 후분양제 등 관련 부동산제도의 변화는 건설업체의 새로운 환경으로 등장하고 있음.
- 정부 차원의 업계 구조조정 정책, 건설업역 구조 및 생산체계 개편 등 2005년 규제개혁사안으로 추진되었던 작업들의 본격적인 추진도 예상되고 있으며,「지방계약법」의 본격 발효, BTL사업의 확대 추진에 따른 지역 중소 건설업체의 영향도 예상되고 있음.
• 시장구조적 측면에서는  
- 수요측면에서는 그동안 건축 수요의 대부분을 차지하던 민간 건축 수요의 경우, 지속적인 감소세는 2006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정부의 부동산 안정화 정책기조와 함께 부동산 관련 수요도 감소될 것으로 보임.
- 정부 재정투자에 의한 공공공사 발주 물량 축소가 예상되고 있으나, BTL사업의 본격적인 시행에 따른 민간투자사업 관련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공급측면에서는 2005년에 특히 심각하게 나타난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가속될 전망으로 보임. 특히 지역에서의 건설수요 감소가 지역 중소 건설업체의 경영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임.
- 특히, 업역 구조개편 및 부실 건설업체에 대한 강력한 구조조정 등 정책적 변화가 공급 구조상에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보임
• 2006년 건설업체의 경쟁 환경은
- 먼저 전통적인 경쟁우위 요소가 되고 있는 자재, 인력 등 생산요소 가격 및 수급 불안정  저가 수주에 따른 원가 경쟁력 확보 및 생산성 제고가 건설업체의 최대 과제로 등장할 전망임.
- 최근 건설업체의 경쟁 환경변화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과거 공사 수주 실적과 기업 재무실적 등에 의존하는 경쟁력 요소가 새로운 파생 상품의 개발, 고품질․틈새시장 공격 전략, 전략적인 수주 능력, 사업성 분석 및 사업 기획 등 소프트 분야로 바뀌고 있는 현상이 지속될 것임.
- 특히, 과거 건설업체의 규모별로 한정된 시장에서의 경쟁에서 벗어나 축소되는 건설시장에서 시장의 우위 확보를 위해 규모에 상관없이 건설업 전체의 경쟁 체계가 가속화될 것임. 이는 곧 대형, 중견․중소 건설업체가 같은 시장에서 같은 상품을 대상으로 경쟁함을 의미하는 것임.

■ 2006년 건설 경영전략 수립 체크포인트
• 가장 먼저 지적할 수 있는 것이 정책․제도 변화에 대한 흐름과 단계적 영향에 대한 충분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에 대한 대응전략을 수립해야 함.
- 건설산업의 구조적인 변화와 수요에 변화를 초래하는 정책, 제도들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이에 대한 전략적인 반영이 필요함.
- 특히, 정부의 정책․제도 변화에 맞춘 기업의 전략적인 로드-맵을 작성, 이에 맞는 전략 수주, 상품 개발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 건설시장의 경쟁요소에 대한 육성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
- 최근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성장하는 건설업체들이 존재하는 것은 그 시장에 그만큼의 경쟁우위 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며, 이에 대해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업체들의 경우, 성장할 수 있음을 의미함.
- 특히, 고객 중심의 경영 패러다임의 변화 및 체제의 전환, 신규 시장․상품 개발에 대한 투자 및 육성, 사업 발굴 및 사업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