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동향브리핑 132호
출판일 2007-03-02
연구원 CERIK
2006년 국내 기업들은 165억 달러라는 해외건설 수주를 달성하였고 과거와는 달리 해외시장이 국내시장의 불황을 타개할 수 있는 필수시장으로 인식된 현 시점에서 정부 및 민간 기업들은 해외 건설시장의 계속적 성장세를 기대하고 있음.
■ 유가 전망 및 건설시장의 변화 추세
배럴당 60∼65달러 유가 유지
- 중동지역에서 플랜트 발주는 지속될 수는 있지만 2006년과 같이 큰 성장은 없을 것으로 예측됨.
대 달러당 유로화 및 일본 엔화 강세
- 달러가치 하락은 미국기업들에게는 경쟁력을 높여 주는 반면 유럽과 일본의 경쟁력은 불리해질 것이라고 전망됨. 이는 국내기업에게도 불리하게 작용될 것으로 예상됨.
중동지역 시장의 급팽창 및 경쟁 심화
- 벌어들인 오일 달러로 SOC 시설과 관광 사업에 투자하는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사우디와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및 리비아 등은 석유 관련 산업 설비 투자를 늘리고 있음. 이란과 카타르 지역은 가스 설비 중심으로 투자를 증가시키고 있음.
아프리카 지역의 국제적인 원조를 통한 사업 증가
-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정이 취약한 점을 고려하여 글로벌 기업들은 민간 자본 혹은 외교를 통해 진출을 확대하고 있음.
BOT사업 증가
- 국제입찰로 진행되는 SOC 시설들은 민간투자사업 형식인 BOT 방식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임. 이에 따라 글로벌 기업들의 덩치가 커지고 재무 건전성이 늘어난 기업들간에 위험 분산을 위해 글로벌 기업간 컨소시엄 방식이 늘어나고 있음.
인건비 및 자재비 상승
- 영국의 물가상승비 전문 조사기관인 ''GT(Gardiner & Theobald)'' 에 의하면 인건비 및 자재비의 상승은 2004년 이후 가장 큰 이슈가 될 것이며, 이로 인해 공기 및 공사비에 상당한 부담을 기업들이 가지게 될 것으로 평가함.
■ 글로벌 기업의 변화 추세
급변하는 해외 건설시장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현지화 혹은 M&A 수단을 통해 단기간에 해결하는 전략을 택하는 글로벌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음. 필요한 전문가의 자체 양성은 시간적 한계가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으로 자리 잡음.
글로벌 기업들은 시장의 다양화 속에서 권역별 차별화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 추세임. 영국의 대표적인 종합건설회사인 AMEC은 자국 내에서는 건축시장에 주력하고 있으며, 해외시장에서는 에너지 및 석유화학 설비에 주력하기로 전략을 수정함.
투자개발형 사업의 확대로 인해 초대형 글로벌 회사가 생겨나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기업 간에도 다양한 형태의 전략이 나타나고 있음.
''process participation'' 전략을 통해 시설 완공 이후의 이윤 창출 개념보다 건설 과정에서 기술력 중심의 프로세스 개선을 통해 이윤을 창출하고자 함. 이는 과거 인건비 경쟁에서 시스템 경쟁으로의 전환을 예상할 수 있음.
■ 시사점
국내 업체들이 해외 건설시장에서의 계속적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급변하는 시장의 변화와 글로벌 기업들의 움직임에 주목해야 할 것임.
중동 및 아시아 지역에서만 전체 수주액의 83%를 차지하는 등 시장 편중도가 심화되어 있어 시장 변화에 따른 영향도가 클 수 있으므로 아프리카 등 다양한 국가의 진출 확대를 통해 리스크 분산이 필요함.
과거 감소 추세였던 투자개발형 사업을 추진함과 동시에 세계적 이슈인 인력난 및 자재난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을 세워 미래를 위한 준비를 해야 할 것임.
경쟁 국가와의 생존과 꾸준한 해외시장 수주를 위해서는 외부 환경에 의존하기보다는 기업 내부에서 스스로의 역량을 강화하는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해야 할 시기임. 또한 국가와 산업 차원의 체계적인 노력도 반드시 이루어져야 함.
- 목 차 -
■ 경제 : 2006년 월별 건설 수주 증감률 추이
2006년 부동산 거래 실적
■ 이슈 : 분양가 규제가 건설업체에 미치는 효과
해외 건설시장 및 글로벌 기업의 변화 추세
■ 정책 : 제2차 ‘건설환경기본계획’ 주요 내용과 영향(Ⅰ)
■ 경영 : 건설 현장소장의 권한 위임과 성과 향상
■ 정보 : 국제수지
■ 논단 : 중소 건설업체, 해외시장 진출 신중히 접근해야
■ 유가 전망 및 건설시장의 변화 추세
배럴당 60∼65달러 유가 유지
- 중동지역에서 플랜트 발주는 지속될 수는 있지만 2006년과 같이 큰 성장은 없을 것으로 예측됨.
대 달러당 유로화 및 일본 엔화 강세
- 달러가치 하락은 미국기업들에게는 경쟁력을 높여 주는 반면 유럽과 일본의 경쟁력은 불리해질 것이라고 전망됨. 이는 국내기업에게도 불리하게 작용될 것으로 예상됨.
중동지역 시장의 급팽창 및 경쟁 심화
- 벌어들인 오일 달러로 SOC 시설과 관광 사업에 투자하는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사우디와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및 리비아 등은 석유 관련 산업 설비 투자를 늘리고 있음. 이란과 카타르 지역은 가스 설비 중심으로 투자를 증가시키고 있음.
아프리카 지역의 국제적인 원조를 통한 사업 증가
-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정이 취약한 점을 고려하여 글로벌 기업들은 민간 자본 혹은 외교를 통해 진출을 확대하고 있음.
BOT사업 증가
- 국제입찰로 진행되는 SOC 시설들은 민간투자사업 형식인 BOT 방식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임. 이에 따라 글로벌 기업들의 덩치가 커지고 재무 건전성이 늘어난 기업들간에 위험 분산을 위해 글로벌 기업간 컨소시엄 방식이 늘어나고 있음.
인건비 및 자재비 상승
- 영국의 물가상승비 전문 조사기관인 ''GT(Gardiner & Theobald)'' 에 의하면 인건비 및 자재비의 상승은 2004년 이후 가장 큰 이슈가 될 것이며, 이로 인해 공기 및 공사비에 상당한 부담을 기업들이 가지게 될 것으로 평가함.
■ 글로벌 기업의 변화 추세
급변하는 해외 건설시장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현지화 혹은 M&A 수단을 통해 단기간에 해결하는 전략을 택하는 글로벌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음. 필요한 전문가의 자체 양성은 시간적 한계가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으로 자리 잡음.
글로벌 기업들은 시장의 다양화 속에서 권역별 차별화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 추세임. 영국의 대표적인 종합건설회사인 AMEC은 자국 내에서는 건축시장에 주력하고 있으며, 해외시장에서는 에너지 및 석유화학 설비에 주력하기로 전략을 수정함.
투자개발형 사업의 확대로 인해 초대형 글로벌 회사가 생겨나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기업 간에도 다양한 형태의 전략이 나타나고 있음.
''process participation'' 전략을 통해 시설 완공 이후의 이윤 창출 개념보다 건설 과정에서 기술력 중심의 프로세스 개선을 통해 이윤을 창출하고자 함. 이는 과거 인건비 경쟁에서 시스템 경쟁으로의 전환을 예상할 수 있음.
■ 시사점
국내 업체들이 해외 건설시장에서의 계속적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급변하는 시장의 변화와 글로벌 기업들의 움직임에 주목해야 할 것임.
중동 및 아시아 지역에서만 전체 수주액의 83%를 차지하는 등 시장 편중도가 심화되어 있어 시장 변화에 따른 영향도가 클 수 있으므로 아프리카 등 다양한 국가의 진출 확대를 통해 리스크 분산이 필요함.
과거 감소 추세였던 투자개발형 사업을 추진함과 동시에 세계적 이슈인 인력난 및 자재난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을 세워 미래를 위한 준비를 해야 할 것임.
경쟁 국가와의 생존과 꾸준한 해외시장 수주를 위해서는 외부 환경에 의존하기보다는 기업 내부에서 스스로의 역량을 강화하는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해야 할 시기임. 또한 국가와 산업 차원의 체계적인 노력도 반드시 이루어져야 함.
- 목 차 -
■ 경제 : 2006년 월별 건설 수주 증감률 추이
2006년 부동산 거래 실적
■ 이슈 : 분양가 규제가 건설업체에 미치는 효과
해외 건설시장 및 글로벌 기업의 변화 추세
■ 정책 : 제2차 ‘건설환경기본계획’ 주요 내용과 영향(Ⅰ)
■ 경영 : 건설 현장소장의 권한 위임과 성과 향상
■ 정보 : 국제수지
■ 논단 : 중소 건설업체, 해외시장 진출 신중히 접근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