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이슈포커스

건설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공정 혁신 성공 사례 분석과 시사점

출판일 2011-02-24

연구원 김원태, 이영환

▶ 현재 국내외 건설 환경은 구매자 우위의 시장으로 기업의 차별화된 수주 전략 없이는 기업의 수익성 보장은 물론 지속성까지 위협받는 실정임.
- 국내의 공급자 포화 상황과 해외의 후발 저임금 신흥 국가와의 경쟁 여건 등을 감안할 경우 단순한 가격 경쟁만으로는 수주 승산이 낮거나 출혈 수주가 불가피함.
- 공기 단축 역량이 수주 경쟁력으로 직결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건설기업의 공정 혁신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음.

▶ 영국과 국내의 건설 공사 기간을 비교한 결과, 공공 청사 건립 공사의 경우 국내 공사 기간이 영국에 비해 약 22% 더 길게 걸리는 것으로 조사됨.
- 시설물 유형·사업 수행 조건·작업 제약 요소 등에 따라 적정 공기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더라도 양국 건설산업의 엄연한 효율성 및 생산성 차이가 존재함.

▶ 본 연구는 국내 건설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 건설 사업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한 성공 사례를 분석하여 그 시사점을 찾고자 함.
- 공정 혁신의 필요성 및 그 수행 방법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성공적인 공정 단축 사례 분석을 통해 공정 혁신을 위한 기본 방향을 제시함.


▶ 본 연구에서 살펴본 성공적 공정 혁신 사례들은 모두 25% 이상의 공정 단축 효과를 달성하였으며, 사업 비용 절감과 함께 안전 및 품질 측면에서도 우수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됨.
- 효율적인 생산 구조로의 변화를 꾀한다면, 공기 단축이 반드시 사업 비용 증가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음.
- 검증된 기술과 철저한 관리가 전제된 공기 단축은 안전 및 품질 차원에서 반드시 부정적인 영향만을 미치는 것이 아님을 확인하였음.  

▶ 성공 사례에서 파악된 국내 대형 건설기업의 생산 역량은 이미 고도화되어 있거나, 실현되지 못한 잠재력은 충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 공기 단축에 성공한 사례들은 기존의 설계 기술 및 시공 공법을 대신해 새로운 접근을 시도한 혁신성을 공통적으로 보였음.
- 생산 기술의 제고만으로는 획기적인 공기 단축이 불가능하며, 비기술적 관리 요소의 발전이 병행되는 생산 프로세스의 최적화 전략이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