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업의 인력 구조조정 실태와 대책방향
출판일 2001-02-01
연구원 김종섭
- 2000년 12월 현재 35개 대형 및 중견 건설업체의 임원 및 정규 직원은 2만명이 감소하여 1997
년 12월의61%수준인 것으로 조사됨.
- 2001년 상반기에도 인원 조정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어 건설산업에 종사하는 고급 인력의
50%정도가 감원될 것으로 전망됨.
- 인원 조정의 긍정적인 효과로는 인건비 절감을 통한 기업의 재무구조 개선과 생산성의 향상
등으로 나타났으며,부정적인 효과로는 업무량 증가에 따른 업무 사각 지대 발생과 고용 불안
에서 오는 애사심의 감소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 구조조정 이후 인력이 절반으로 줄어든 상태에서 건설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건설관련 단체,연구기관,기업이 상호 협력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함.
- 산업 차원에서는 ①퇴직한 고급 인력에 대한 인사 정보의 DB화,② 직무 관리의 표준화,③ 특
수한 프로젝트에서 축적한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④ 현장 소장,CM 등
교육 과정의 단계별 표준화 등 지식 경영 인프라를 구축해야 함.
- 개별 기업은 ①조직 슬림화와 업무 프로세스를 먼저 개선하고 직급과 의사 결정 체계를 단순
화하는 스피드 경영을 실현,② 기록 문화를 정착시키고 OJT 매뉴얼 작성과 체계적인 관리로
지식 경영 체제를확립,③ 합리적 평가 시스템과 보상 체계를 확립하여 능력주의 인사 관리 제
도 정착과 1인 다기능화를 위한 교육 훈련을 확대해야 함.
년 12월의61%수준인 것으로 조사됨.
- 2001년 상반기에도 인원 조정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어 건설산업에 종사하는 고급 인력의
50%정도가 감원될 것으로 전망됨.
- 인원 조정의 긍정적인 효과로는 인건비 절감을 통한 기업의 재무구조 개선과 생산성의 향상
등으로 나타났으며,부정적인 효과로는 업무량 증가에 따른 업무 사각 지대 발생과 고용 불안
에서 오는 애사심의 감소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 구조조정 이후 인력이 절반으로 줄어든 상태에서 건설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건설관련 단체,연구기관,기업이 상호 협력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함.
- 산업 차원에서는 ①퇴직한 고급 인력에 대한 인사 정보의 DB화,② 직무 관리의 표준화,③ 특
수한 프로젝트에서 축적한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④ 현장 소장,CM 등
교육 과정의 단계별 표준화 등 지식 경영 인프라를 구축해야 함.
- 개별 기업은 ①조직 슬림화와 업무 프로세스를 먼저 개선하고 직급과 의사 결정 체계를 단순
화하는 스피드 경영을 실현,② 기록 문화를 정착시키고 OJT 매뉴얼 작성과 체계적인 관리로
지식 경영 체제를확립,③ 합리적 평가 시스템과 보상 체계를 확립하여 능력주의 인사 관리 제
도 정착과 1인 다기능화를 위한 교육 훈련을 확대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