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비전통적 발주방식 동향과 시사점
출판일 2000-10-01
연구원 이복남외
- 선진국 건설시장의 발주 방식이 전통적인 설계·시공 분리 발주 방식에서 건설사업관리(CM
Construction Management) 발주 방식, 설계·시공 일괄(Design-Build, DB) 발주 방식 등으
로 다양하게 변해가고 있음.
· 다양한 요인으로서는 발주자 사업 관리 기능의 아웃소싱, 인터넷 활용을 통한 사업관리, 위
험의 분산, 패스트 트랙, 시공성 향상 등을 통한 공기 단축 및 공사비 절감, 그리고 복잡화 또
는 대형화된 건설사업의 효율적 관리를 들 수 있음.
- 비전통적 발주 방식이 증가함에 따라 산업계에서도 이러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변신 전략을 택하고 있음. 이와 함께 참여하는 기업체 수도 증가되어 경쟁의
구도가 과거보다 발주 방식별로 차별화되는 경향이 나타나 있음.
· ENR지가 선정한 상위 100대 위탁형 CM(CM-for Fee) 업체들은 1998년 39%의 매출 증가율
을 나타내었고, 1999년에는 1.2%의 증가율을 나타내었음.
· ENR지가 선정한 상위 100대 시공 일임형 CM(CM-at-Risk) 업체들은 1999년에 8.8%의
매출 증가율을 기록하였으며, 국내 시장만으로 한정하면 전년 대비 13.2%의 증가율을 나타내
었음.
· ENR지 선정 상위 100대 턴키 업체들은 전년 대비 25.8%의 고성장을 보임. 이를 구분하면,
미국 국내 시장에서의 30.3%, 해외 시장에서의 19.9%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음.
- 비전통적 발주 방식 활성화에 따른 문제점으로는 발주자가 발주 방식별 특성 및 위험 요인들
을 정확히 알지 못하고 있는 것임. 또한, 참여 업체 수가 증가할수록 경험이 부족하거나 자격
요건을 갖추지 못한 업체의 참여가 우려되고 있음.
- 국내건설 시장에도 발주 방식의 다양화 추세가 가속될 것으로 예측됨. 발주 방식의 변화는 필
연적으로 산업체에게 전문화와 차별화를 요구하게 됨. 국내 건설업체나 엔지니어링업체,
건축사무소 등의 비전통적 발주 방식의 접근을 위해서는 먼저 각 업체마다 스스로의 서비스
제공 능력 파악과 서비스 범위를 정하여야 함.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어떠한 발주 방식에
전문화된 능력을 갖출 것인가를 결정하고 발주자의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조직의 개편 및
신설을 위한 중장기 전략 수립이 필요함.
Construction Management) 발주 방식, 설계·시공 일괄(Design-Build, DB) 발주 방식 등으
로 다양하게 변해가고 있음.
· 다양한 요인으로서는 발주자 사업 관리 기능의 아웃소싱, 인터넷 활용을 통한 사업관리, 위
험의 분산, 패스트 트랙, 시공성 향상 등을 통한 공기 단축 및 공사비 절감, 그리고 복잡화 또
는 대형화된 건설사업의 효율적 관리를 들 수 있음.
- 비전통적 발주 방식이 증가함에 따라 산업계에서도 이러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변신 전략을 택하고 있음. 이와 함께 참여하는 기업체 수도 증가되어 경쟁의
구도가 과거보다 발주 방식별로 차별화되는 경향이 나타나 있음.
· ENR지가 선정한 상위 100대 위탁형 CM(CM-for Fee) 업체들은 1998년 39%의 매출 증가율
을 나타내었고, 1999년에는 1.2%의 증가율을 나타내었음.
· ENR지가 선정한 상위 100대 시공 일임형 CM(CM-at-Risk) 업체들은 1999년에 8.8%의
매출 증가율을 기록하였으며, 국내 시장만으로 한정하면 전년 대비 13.2%의 증가율을 나타내
었음.
· ENR지 선정 상위 100대 턴키 업체들은 전년 대비 25.8%의 고성장을 보임. 이를 구분하면,
미국 국내 시장에서의 30.3%, 해외 시장에서의 19.9%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음.
- 비전통적 발주 방식 활성화에 따른 문제점으로는 발주자가 발주 방식별 특성 및 위험 요인들
을 정확히 알지 못하고 있는 것임. 또한, 참여 업체 수가 증가할수록 경험이 부족하거나 자격
요건을 갖추지 못한 업체의 참여가 우려되고 있음.
- 국내건설 시장에도 발주 방식의 다양화 추세가 가속될 것으로 예측됨. 발주 방식의 변화는 필
연적으로 산업체에게 전문화와 차별화를 요구하게 됨. 국내 건설업체나 엔지니어링업체,
건축사무소 등의 비전통적 발주 방식의 접근을 위해서는 먼저 각 업체마다 스스로의 서비스
제공 능력 파악과 서비스 범위를 정하여야 함.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어떠한 발주 방식에
전문화된 능력을 갖출 것인가를 결정하고 발주자의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조직의 개편 및
신설을 위한 중장기 전략 수립이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