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자금조달 실태 분석
출판일 2012-08-24
연구원 김민형, 심형석, 김영훈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2008년 하반기 이후 대내외적인 영업 환경의 악화로 2011년 건설업의 수익률은 3년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 또한, 상대적으로 높은 부채비율과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에 따른 금융권의 구조조정으로 향후 건설업의 자금조달 여건은 더욱 악화될 전망임.
․2010년 대부분의 산업 경영 실적이 호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건설업은 IMF 이후 최악의 상황에 당면함.
-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2011년도 건설업계의 직접, 간접 자금조달 실태와 2012년 전망, 그리고 자금조달과 관련된 기업신용평가 및 PF 현황 등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개선 과제와 정책적 시사점 등을 제사하고자 함.
제2장 2011년 건설업 경영 개관
- 한국은행의 “2011년 기업경영분석(속보)”에 따르면, 2011년도 건설업 경영은 유동성이 다소 개선된 반면, 안정성은 전반적으로 2010년에 비해 악화된 양상을 보임.
- 수익성은 2011년 들어 심각하게 악화됨. 제조업도 악화되었으나, 건설업은 2010년에도 각종 지표의 절대치가 낮은 상황이었으므로 2011년의 지표는 건설업의 수익성이 얼마나 심각한 상태인지를 잘 보여줌.
․수익성을 나타내는 매출액 영업이익률, 매출액 세전수익률, 이자보상비율이 모두 악화됨. 특히, 이자보상비율이 2010년에 비해 64.57%p나 하락한 것은 상대적으로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하락하였기 때문임.
- 2008년 하반기 이후 대내외적인 영업 환경의 악화로 2011년 건설업의 수익률은 3년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 또한, 상대적으로 높은 부채비율과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에 따른 금융권의 구조조정으로 향후 건설업의 자금조달 여건은 더욱 악화될 전망임.
․2010년 대부분의 산업 경영 실적이 호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건설업은 IMF 이후 최악의 상황에 당면함.
-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2011년도 건설업계의 직접, 간접 자금조달 실태와 2012년 전망, 그리고 자금조달과 관련된 기업신용평가 및 PF 현황 등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개선 과제와 정책적 시사점 등을 제사하고자 함.
제2장 2011년 건설업 경영 개관
- 한국은행의 “2011년 기업경영분석(속보)”에 따르면, 2011년도 건설업 경영은 유동성이 다소 개선된 반면, 안정성은 전반적으로 2010년에 비해 악화된 양상을 보임.
- 수익성은 2011년 들어 심각하게 악화됨. 제조업도 악화되었으나, 건설업은 2010년에도 각종 지표의 절대치가 낮은 상황이었으므로 2011년의 지표는 건설업의 수익성이 얼마나 심각한 상태인지를 잘 보여줌.
․수익성을 나타내는 매출액 영업이익률, 매출액 세전수익률, 이자보상비율이 모두 악화됨. 특히, 이자보상비율이 2010년에 비해 64.57%p나 하락한 것은 상대적으로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하락하였기 때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