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건설기업의 자금조달 구조 분석 및 시사점
출판일 2013-09-27
연구원 빈재익
- 내부 유보 자금과 유동 부채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건설업의 자금조달 구조는 경기 변동에 취약함.
․자금조달 구조의 경기 민감성은 건설업의 PF 사업 부문 매출액이 증가하면서 증가했음.
․경기 변동에 따라 겪는 자금 조달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기업 스스로의 수익성 제고 노력보다 산업 밖에 있는 발주자에게 물량 확대를 먼저 그리고 더 많이 요구하는 것이 건설산업의 자금 조달 현실임.
․건설 물량 확대에 이어 많은 수의 기업들이 건설기업의 수익성 제고를 통해 자금난을 해결할 수 있다고 응답했는데,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정부의 공사대금 지급 확인 시스템 구축 방안은 건설기업들, 특히 중소 건설업체와 전문건설업체의 현금 흐름을 개선시켜, 이들 건설기업들의 자금 조달 어려움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할 수 있음.
․자금조달 구조의 경기 민감성은 건설업의 PF 사업 부문 매출액이 증가하면서 증가했음.
․경기 변동에 따라 겪는 자금 조달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기업 스스로의 수익성 제고 노력보다 산업 밖에 있는 발주자에게 물량 확대를 먼저 그리고 더 많이 요구하는 것이 건설산업의 자금 조달 현실임.
․건설 물량 확대에 이어 많은 수의 기업들이 건설기업의 수익성 제고를 통해 자금난을 해결할 수 있다고 응답했는데,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정부의 공사대금 지급 확인 시스템 구축 방안은 건설기업들, 특히 중소 건설업체와 전문건설업체의 현금 흐름을 개선시켜, 이들 건설기업들의 자금 조달 어려움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