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안전사고 근절을 위한 혁신적인 안전관리 개선 방안 연구
출판일 2017-02-16
연구원 최수영, 최석인, 유위성
건설산업의 사망 및 재해율은 타 산업에 비해 높은 실정임. 최근 선진국들은 시공자를 집중 규제하는 제도의 한계를 인식하고, 새로운 방안들을 시도함.
· 영국과 미국에서는 건설 안전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원인 및 주체에 대해 분석하고, 시공자를 제외한 다른 사업 참여 주체(발주자, 설계자 등)의 재해예방 역할을 제시함.
- 본 연구는 국내 건설산업의 안전사고 저감을 위한 각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이를 위해 안전사고 이론, 통계, 실태, 해외 동향, 그리고 국내 건설기업의 안전 수준에 대한 평가를 수행함.
제2장 건설산업과 안전사고의 관계
- 안전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건설산업 특성은 제조업과 달리 일관되게 통제하기 어려운 변화무쌍한 건설현장의 환경으로 요약할 수 있음.
· 동일한 작업임에도 불구하고 제반 환경이 수시로 변해 작업자의 주변 환경 파악 및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 다수의 작업들이 한정된 공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 작업장의 복잡함을 야기
· 팀원들의 잦은 교체로 인하여 작업의 연속성 저하 및 의사소통 문제가 발생하며, 이는 안전사고의 간접적인 원인으로 작용
- 안전사고는 건설산업에 직접적인 영향도 주지만 회사 이미지 저하와 환산재해율 증가와 같은 간접적인 부문에도 큰 영향을 미침.
·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투자는 사고 발생 후 뒤따르는 직간접인 비용보다 낮음.
· 영국과 미국에서는 건설 안전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원인 및 주체에 대해 분석하고, 시공자를 제외한 다른 사업 참여 주체(발주자, 설계자 등)의 재해예방 역할을 제시함.
- 본 연구는 국내 건설산업의 안전사고 저감을 위한 각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이를 위해 안전사고 이론, 통계, 실태, 해외 동향, 그리고 국내 건설기업의 안전 수준에 대한 평가를 수행함.
제2장 건설산업과 안전사고의 관계
- 안전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건설산업 특성은 제조업과 달리 일관되게 통제하기 어려운 변화무쌍한 건설현장의 환경으로 요약할 수 있음.
· 동일한 작업임에도 불구하고 제반 환경이 수시로 변해 작업자의 주변 환경 파악 및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 다수의 작업들이 한정된 공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 작업장의 복잡함을 야기
· 팀원들의 잦은 교체로 인하여 작업의 연속성 저하 및 의사소통 문제가 발생하며, 이는 안전사고의 간접적인 원인으로 작용
- 안전사고는 건설산업에 직접적인 영향도 주지만 회사 이미지 저하와 환산재해율 증가와 같은 간접적인 부문에도 큰 영향을 미침.
·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투자는 사고 발생 후 뒤따르는 직간접인 비용보다 낮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