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연구보고서

건설상품별 중장기 시장 전망 -주택수요전망-

출판일 2004-11-04

연구원 권오현,최민수

한국경제의 고도성장 과정에서 급격한 인구의 도시집중이 이루어지면서, 이로 인해 도시지역의 주택문제가 40년 이상 고착화하였고, 시장 불균형에 대한 정부의 개입과정에서 시장의 불안정성은 가중되었음.

- 최근에는 연속적인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투기억제정책 및 거시경제의 침체로 주택시장은 급격히 위축되고 있음.

- 장기적으로는 인구 증가율의 격감과 노령화 사회로의 빠른 진행, 단독세대의 급증 등 인구구조 측면에서 수요구조의 급격한 변화가 예상되고 있음.

- 또한 1970~80년대 이후 집중 건설된 주택들이 노후화되면서 재개발․재건축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어, 이들 주택에 대한 재개발․재건축이 본격화되면 주택시장은 이제까지와는 다른 양상으로 발전할 가능성도 있음.

- 공공기관 지방 이전 등 정부정책은 국토이용구조뿐만 아니라 지역 주택수요 구조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됨.

- 건설기업의 경영전략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큰 주택시장은 그 어느 때보다도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폭되고 있음.

- 이러한 구조적 변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건설업체들은 종전에 수립한 기업 경영전략을 재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

- 본 연구는 장기 주택 수요구조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건설기업들의 경영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는 데 목적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