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연구보고서

건설 공사비 지수 개발 II

출판일 2004-11-12

연구원 이복남,김우영,김윤주,이준성

건설공사비지수는 사용주체의 목적에 맞게 개발되고 정의되어 왔는데, 이러한 건설공사비지수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면, 대한건설협회(이하 “건협”)에서는 건설공사비지수를 “명목건설공사금액에서 물가(건설자재가격 및 건설노임)상승분을 제외시켜 실질공사금액인 물량기준으로 환가(換價)하기 위하여, 특정 연도의 건설공사가격수준을 100으로 하고 비교 연도의 건설공사가격수준을 지수화한 것 대한건설협회, 1994
”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한편 건설기술연구원(이하 “건기연”)에서는 건설공사비지수를 “건설공사에 투입되는 재료, 노무, 장비 등 직접공사비를 대상으로 한국은행(이하 “한은”)의 산업연관표와 생산자물가지수, 대한건설협회의 공사부문 시중노임 자료 등을 이용하여 작성된 가공통계로서 건설공사 직접공사비의 가격변동을 측정하는 것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4.2
”으로 정의하고 있다.
건협의 공사비지수는 1994년 이후 발표가 중단되었으며, 건기연이 2004년 2월부터 실적공사비제도와 관련하여 새롭게 공사비지수를 발표하기 시작하였다. 건기연은 건설공사비지수를 통해 시간변화에 따른 실질적인 건설물가의 변동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실적공사비제도 운영과 관련하여 실적공사비 자료의 현가와 및 계약이후 건설물가 변동률 산정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건기연은 건설공사비지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한은의 산업연관표, 생산자물가지수와 건협의 공사부문 시중노임 등 검증된 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그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산업연관표상의 항목과 생산자물가지수의 세부항목을 연계하여, 각 항목별 가중치를 곱하여 산정되는 지수 가중치의 경우, 생산자물가지수상의 항목별 가중치가 산업연관표상의 연계 항목에 대한 상대적 가중치로서 사용되는 것의 타당성과 이러한 항목들이 건설업의 특성을 적절히 반영한 것인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사비지수를, “각 시기별 공사비를 일정기준시점의 공사비로 환산함으로써 공사물량을 확인할 뿐만 아니라, 공사관리의 목적상 물가변동에 따른 공사비변동추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공사비를 구성하는 주요요소이며 공사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재료비와 노무비, 경비의 가격 변화와 연동하여 산출하는 지수”로 정의하고자 한다.  이 지수는 건설산업기본법의 시설물분류와 건협의 공사부문 시중노임과 거래가격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세부공종(시설물)의 전체 건설공사에 대한 가중치에 근거한 건설공사비지수로 다루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