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중소 건설업체의 신시장 진출 사례 연구
출판일 2005-12-05
연구원 강운산
일본의 건설산업은 10여년 동안의 일본 경제의 장기 불황 속에서 1997년 이후 건설투자의 뚜렷한 감소로 건설시장이 크게 축소되었으며, 건설업체 수는 2002년 약 57만개로 1992년에 비해 92%가 증가하여 경쟁이 심화되는 등 큰 위기에 직면해 있다. 실제로 1992년 약 84조엔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던 건설투자는 1996년까지는 80조엔 전후를 기록하다가 1997년에는 약 75조엔, 2001년에는 64조엔, 2002년에는 57조엔 그리고 2003년에는 54조엔을 기록하여 1992년에 비해 약 40%정도가 줄어들었다. 특히, 민간건설투자의 경우 일본의 전체적인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1990년의 약 56조엔에서 2002년 32조엔으로 43%가 감소하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최근 일본 경제가 장기불황의 터널은 벗어났다고 하지만 단기적으로 건설투자의 급격한 회복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일본의 건설산업은 시장경제원리를 기초로 부실 건설업체의 퇴출 촉진에 의한 과잉 공급 구조의 시정과 건설업체의 자율적인 경영 효율화의 달성을 통해 건설산업의 구조를 재편하여야 하는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일본 정부는 전체 산업의 재편을 위해 「산업 재편에 관한 기본 지침」을 수립하였으며, 건설산업의 구조 개편을 위해서 「건설산업 재편 지침」을 수립․시행하고 있다.
일본 건설산업 재편의 특징은 시장원리에 입각하여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과 개별 기업들의 경영기반 강화와 생산성 향상을 통해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이며, 정부의 역할은 이러한 내용들이 원만하게 이루어지도록 환경조성을 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또한 일본의 건설산업 재편은 ⅰ)건설업체의 기술력․경영기반강화, ⅱ)선택과 집중을 통한 기업합병 및 제휴의 강화, ⅲ)경영다각화․신시장 진출, ⅳ)수익성이 떨어지는 사업부문의 축소․철수 등의 4대 과제를 통해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 4대 과제 중 신시장 진출(경영다각화 포함)은 중앙정부․지방자치단체․건설업 관련 단체들이 협력하여 중소 건설업체들을 대상으로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처럼 신시장 진출이 중소 건설업체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중소 건설업체들이 지역 경제에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크기 때문이며, 신시장 진출을 통해 건설업체에 고용된 인력을 신시장으로 재취업시키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일본 중소 건설업체들의 신시장 진출은 어려운 경영 환경에 처하고 있는 우리 나라의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 연구는 일본의 건설업 재편을 위한 4대 과제 중 중소 건설업체의 신시장 진출의 내용과 진출 대상 등과 실제 사례를 중점적으로 소개함으로써, 일본의 중소 건설업체들과 비슷한 상황에 처한 우리나라의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되는 참고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정부의 중소 건설업체에 대한 향후 정책 수립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새로운 사업 영역을 검토하고 있는 중소 건설업체들에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최근 일본 경제가 장기불황의 터널은 벗어났다고 하지만 단기적으로 건설투자의 급격한 회복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일본의 건설산업은 시장경제원리를 기초로 부실 건설업체의 퇴출 촉진에 의한 과잉 공급 구조의 시정과 건설업체의 자율적인 경영 효율화의 달성을 통해 건설산업의 구조를 재편하여야 하는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일본 정부는 전체 산업의 재편을 위해 「산업 재편에 관한 기본 지침」을 수립하였으며, 건설산업의 구조 개편을 위해서 「건설산업 재편 지침」을 수립․시행하고 있다.
일본 건설산업 재편의 특징은 시장원리에 입각하여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과 개별 기업들의 경영기반 강화와 생산성 향상을 통해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이며, 정부의 역할은 이러한 내용들이 원만하게 이루어지도록 환경조성을 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또한 일본의 건설산업 재편은 ⅰ)건설업체의 기술력․경영기반강화, ⅱ)선택과 집중을 통한 기업합병 및 제휴의 강화, ⅲ)경영다각화․신시장 진출, ⅳ)수익성이 떨어지는 사업부문의 축소․철수 등의 4대 과제를 통해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 4대 과제 중 신시장 진출(경영다각화 포함)은 중앙정부․지방자치단체․건설업 관련 단체들이 협력하여 중소 건설업체들을 대상으로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처럼 신시장 진출이 중소 건설업체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중소 건설업체들이 지역 경제에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크기 때문이며, 신시장 진출을 통해 건설업체에 고용된 인력을 신시장으로 재취업시키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일본 중소 건설업체들의 신시장 진출은 어려운 경영 환경에 처하고 있는 우리 나라의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 연구는 일본의 건설업 재편을 위한 4대 과제 중 중소 건설업체의 신시장 진출의 내용과 진출 대상 등과 실제 사례를 중점적으로 소개함으로써, 일본의 중소 건설업체들과 비슷한 상황에 처한 우리나라의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되는 참고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정부의 중소 건설업체에 대한 향후 정책 수립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새로운 사업 영역을 검토하고 있는 중소 건설업체들에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