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5,001
개의 검색결과
-
건설동향브리핑 614호건설사업의 대형화・복잡화와 숙련공 부족에 의하여 사업의 장기화와 비용 초과 등의 실패사례들이 증가함에 따라 로봇 도입을 통한 수행체계의 변혁을 도모하는 노력이 있음.
- 최근 건설산업은 숙련공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아 품질 확보에 어려움이 많으나, 로봇을 도입함으로써 기능공의 숙련도에 따라서 달라지던 건설 품질의 균질성을 확보함.
- 건설사업의 특성상 예측하기 어려운 여건 변화에 따라서 계획된 일정대로 사업이 수행되지 못함으로써 공기지연과 사업비 증가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로봇 도입을 통해 공장 생산을 체계화함...file_present 건설동향브리핑 614호.pdf정책동향 건설기업의 빅 데이터 분석 역량 개선 방안 모색 시장동향 4월 건설 수주, 전년 동월 대비 29.7% 증가 2017년 1/4분기 건설업 경영 분석 산업정보 OECD의 2017, 2018년 세계 경제 전망 IFAWPCA 2017, 제4차 산업혁명과 건설산업 건설논단 건설산업 경쟁력 가로막는 장애물들 제614호 2017. 6. 19 정책동향 2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기업의 빅 데이터 분석 역량 개선 방안 모색 - 조직 · 데이터 자원 · 인프라 · 전...2017-06-19 09:00:00 -
건설동향브리핑 615호2016년의 ‘8.25 가계부채 관리 방안’과 ‘11.3 부동산시장 안정적 관리 방안’ 발표에도 불구하고 2017년 초부터 주택가격 상승과 가계부채 증가폭이 줄어들지 않자, 문재인 정부는 가계부채 대응 및 주택정책 방향성을 담은 대책을 6월 19일에 발표함.
‘6.19 주택시장의 안정적 관리를 위한 선별적 맞춤형 관리 방안’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첫 부동산 대책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 DTI․LTV 강화를 통한 청약조정지역 부동산대출 억제 내용을 담아 가계대출의 건전성 악화도 대비하고 있음.
●...file_present 건설동향브리핑 615호(0).pdf정책동향 서울시 노후 인프라 대책과 정책 시사점 문재인 정부 첫 부동산 대책의 평가와 전망 시장동향 최근 전월세 시장 동향 한국은행의 가계부채 진단, 주요 내용과 시사점 산업정보 2017년 IMD 국가 경쟁력 순위, 한국 29위로 정체 건설업, 청년층 유입을 위한 일자리 창출 필요 연구원 소식 건설논단 노후 인프라 개량, 국민 안전과 일자리 창출의 킹핀 제615호 2017. 6. 26 정책동향 2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서울시 노후 인프라 대책과 정책 시사점 1) - 노후 인프라 예측 관리를 통해 안전 강화, 미래의 비용 절감 도모...2017-06-26 09:00:00 -
2017년 하반기 건설․부동산 경기 전망 세미나전년 연말 우려에 비해 상반기 경기 상황은 나쁘지 않았음. 1~3월까지 건설 수주액은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하였고, 서울을 중심으로 가격 상승세 및 분양시장의 호조세도 이어지고 있음.
새 정부 출범 이후‘도시재생 뉴딜’과 같은 경기 부양 기대감과 ‘가계부채 총량관리제 도입’등 규제 강화 기조에 대한 우려가 시장에서는 공존함.
그러나, 하반기로 갈수록 수주 부진, 금리 상승, 입주 증가 등 리스크가 적지 않아 경기 사이클 변화 여부 판단이 필요한 시점임.
이에 연구원에서는 최근의 건설 및 부동산 시장 동향과 새...file_present 2017 하반기 전망.zip2017년 하반기 주택 부동산 전망.pdf 2017. 6. 29. © Copyright CERIK 2017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 구 위 원 허윤경 부연구위원 김천일 2017 년 하반기 주택 ∙부동산시장 전망 Global Professional Research Partner CERIK I. 2017 년 상반기 동향 및 특징 II. 2017 년 하반기 전망의 주요 변수 III. 2017 년 하반기 전망 및 시사점 Table of Contents 2 CERIK | -6.00-4.00-2.000.002.004.006....2017-06-29 09:00:00 -
건설동향브리핑 616호우리나라의 경우 「하도급법」 제3조의 2 및 「건설산업기본법」 제22조에 따라 공정거래위원회가 제정·보급하고 있는 ‘표준하도급계약서’ 사용을 권장하고 있음. 이는 수급사업자와 원사업자 간의 계약체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이익과 분쟁 발생 요소를 사전에 방지하고 계약서 작성 시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함임.
더구나 건설업의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영업정지 및 입찰참가자격 제한에 있어 벌점 감경제를 운영하고 있음. 또한 기획재정부 계약예규와 공공 발주기관의 자체 입찰참가자격사전심사요령 등을 통해 적격심사, ...file_present 건설동향브리핑 616호.pdf정책동향 건설업종 표준하도급계약서의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 시장동향 2017년 국내 건설 수주, 10.2% 감소한 148조원 전망 2017년 하반기 주택시장, 매매 1.2%, 전세 0.1% 하락 전망 산업정보 건설업계 차입여건 지속 악화 유럽 건설시장의 현황과 전망 I 건설논단 중소 건축물, 무자격자 시공 대책 세워야 제616호 2017. 7. 3 정책동향 2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업종 표준하도급계약서의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 - 건설업의 특성을 고려, 원사업자와 수급사업자 간 상호 대등한 관점에서 운영되어야 - 대다수 건설공...2017-07-03 09:00:00 -
2017년 6월 건설기업경기실사지수(CBSI)6월 건설기업경기실사지수(CBSI)가 전월 대비 3.8p 상승한 90.4을 기록함.
- 지난 2016년 12월(90.6)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 건설기업의 체감경기 침체 수준이 전월보다 개선됨.
- CBSI는 지난 1∼3월에 회복이 지연되었으나, 4월에 6.7p 증가한 이후 꾸준히 상승해 3개월 연속 개선
- 지난 5월에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및 경기부양에 대한 기대감으로 지수가 회복되었는데, 6월에는 발주 물량이 증가하는 계절적 영향과 함께 기성 및 공사대금 상황이 전월보다 개선된 것 또한 지수 회복에 ...file_present 자료1706.pdf월 전월비 상승한 6 CBSI 3.8p 90.4, 월 이후 개월 연속 개선4 3 월은 하락한 전망 픹서괰 계절적 씁향으로 지수 하락 씈상7 1.4p 89.0 , 월 건설괰업경괰실사지수 가 위월 대비 상승한 을 괰띝함6(CBSI)3.8p 90.4. ◦ 지난 년 월 이후 가장 높은 수쵘를 괰띝 건설괰업의 체감경괰 쵨체 수준2016 12 (90.6) , - 이 위월보다 개선댨. 는 지난 월에 햌복이 지연댘었으나 월에 증가한 이후 꾸준히 상승해 CBSI ...2017-07-05 09:00:00 -
건설동향브리핑 617호2016년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던 토목 부문은 2019년까지 연평균 3.1% 성장해 부진을 만회할 전망임.
- 국가별로 보면 체코, 헝가리 등 동유럽 국가들이 9.7%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서유럽 지역의 국가를 압도할 것으로 예상됨.
- 지난 2008년부터 2014년 사이 시장 규모가 –28% 감소했던 서유럽 국가들 중에는 노르웨이, 스웨덴, 스위스 등이 지역 내 타 국가들...file_present 건설동향브리핑 617호.pdf정책동향 해외 진출 건설기술자 동향과 정책 과제 시장동향 2017년 상반기 해외건설 수주 동향 6월 CBSI, 전월 대비 3.8p 상승한 90.4 기록 분양시장 공급은 감소세, 수요는 일정 수준 유지 산업정보 유럽 건설시장의 현황과 전망 II 건설논단 올바른 주택정책 방향에 대한 고언(苦言) 제617호 2017. 7. 10 정책동향 2 한국건설산업연구원 해외 진출 건설기술자 동향과 정책 과제 1) - 해외진출 건설기술자, 특급기술자 비중 높으나 실제 해외경력은 대부분 5년 이하 - 해외 진출 건설기술자 지난 ...2017-07-10 09:00:00 -
4차산업혁명시대 인프라 질적제고방향과 전략최근 선진국은 인프라의 신설 및 재투자를 위한 각종 전략과 정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국내 건설산업도 사회안전망 확보를 위한 노후 인프라 투자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선진국은 장기간의 투자를 통해 구축된 인프라의 노후화와 신설 인프라 확보에 대응하기 위한 투자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압축 성장 시기에 지어진 인프라의 안전과 시설 노후화에 대비한 예방적 투자가 필요함.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인프라 투자 기조는 양적 중심에서 질적 제고를 도모할 수 있는 방향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임.
...file_present 4차산업 혁명시대 인프라 질적제고방향과 전략.pdf「 」 3.27 2.99 2.92 2.51 2.39 2.0 2.5 3.0 3.5 4.0 20132014201520162017 SOC 예산/GDP(%) (단위 : %/GDP) 상각률 2%, 성장률 3.5%시 필요투자 상각률 2%, 성장률 3%시 필요투자 3.08 2.08 α ln ln ln ln ...2017-07-12 09:00:00 -
향후 국내 건설시장 패러다임 변화의 주요 특징2020년 이후 국내 건설시장은 유지보수 시장이 증가하고, 신축 시장의 축소 가능성이 커지는 등 여러 측면에서 선진국형 건설시장으로의 전환이 본격 시작될 것으로 예상됨.
- 2020년은 향후 건설경기 사이클상 불황 국면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아, 불황 국면 중에 건설시장의 패러다임 변화도 본격 시작된다는 점에서 국내 건설기업의 사전적 준비가 필요해 보임.
● 국내 건설시장 패러다임 변화의 주요 특징은 노후 시설의 유지보수 수요 급증, 신축 시장 축소 및 질적 변화, 운영(O&M) 시장 성장 및 시공부문과 시너지 확대 등임....file_present 향후 국내 건설시장 패러다임 변화의 주요 특징.pdf건설이슈포커스 향후 국내 건설시장 패러다임 변화의 주요 특징 2017. 7 이홍일 서론 ■··········································································································4 국내 건설시장 패러다임 변화의 가지 특징3■··················································6 가지 특징별 주요 변화 내용3 ■············································...2017-07-13 09:00:00 -
건설동향브리핑 618호한국전력에 따르면 2016년 국내 전력 공급에서 석탄 화력 발전은 39.3%, 원자력 발전은 30.7%, 천연가스(LNG) 발전은 18.8%, 신재생에너지 발전은 4.7%의 비중을 차지함.
정부는 2017년 6월 19일 석탄 화력 및 원자력 발전 중심의 발전 계획에서 벗어나, 신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하는 정책 전환을 제시한 바 있음.
- 국민 안전과 청정에너지 보급을 위해 2030년까지 기존의 석탄 화력 및 원자력 발전 에너지를 25%, 18% 수준으로 축소시키고, 현재 4%대의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20%까지 증진시키...file_present 건설동향브리핑 618호.pdf정책동향 박근혜 정부의 지역발전정책 평가와 새정부 정책 방향 조세 정책의 트렌드 변화와 시사점 시장동향 향후 국내 건설시장 패러다임 변화의 3가지 특징 5월 건설 수주, 전년 동월 대비 17.4% 증가 산업정보 국내 및 해외 주요국의 에너지 산업 정책 동향 건설논단 건설 생태계 바꿔야 ‘스마트 도시’ 열린다 제618호 2017. 7. 17 정책동향 2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박근혜 정부의 지역발전정책 평가와 새정부 정책 방향 - 명확한 정책 목표 수립과 실효성 확보 방안 마련해야 - 박근혜 정부의 지역발전정책 평가 박근혜 정부...2017-07-17 09:00:00 -
2017년 월간건설경기동향 7월호<건설>
2017년 5월 건설수주 전년 동월 대비 26.1% 증가
공공수주 12.6% 증가, 민간수주 31.2% 증가
2017년 5월 건설기성 전년 동월 대비 20.8% 증가
2017년 6월 CBSI 전월 대비 3.8p 상승
<부동산>
토지가격 45개월 연속 상승세 지속
2017년 6월 수도권 재건축 소형 중심 상승
2017년 5월 주택건설 인허가 전년 동월 대비 13.5% 감소
2017년 5월 미분양 전월보다 3,454호 감소한 5만 ...file_present 2017년월간건설경기동향 7월호.pdf월간건설경기동향 2017. 07 건설 ▶ 2017년 5월 건설수주 전년 동월 대비 26.1% 증가 ▶ 공공수주 12.6% 증가, 민간수주 31.2% 증가 ▶ 2017년 5월 건설기성 전년 동월 대비 20.8% 증가 ▶ 2017년 6월 CBSI 전월 대비 3.8p 상승 부동산 ▶ 토지가격 45개월 연속 상승세 지속 ▶ 2017년 6월 수도권 재건축 소형 중심 상승 ▶ 2017년 5월 주택건설 인허가 전년 동월 대비 13.5% 감소 ▶ 2017년 5월 미분양 전월보다 3,454호 감소한 5만 6,859호 Content I. 건설경...2017-07-17 09:00:00